메모리

[OS] Window10(윈도우 10) 비정상적인 메모리 사용량 해결 방법
문제 상황 요즘 부쩍 노트북이 버벅거리는 경우가 잦다 싶었는데 오늘 유난히 말썽을 부리길래 각 잡고 탐험을 시작했다. 가장 먼저 확인한 건 역시 작업 관리자! 메모리 사용량을 보고 내 눈을 의심했다. 뭐 원래 이것저것 다 펼쳐두고 하는 스타일이긴 한데 이게 맞나? 싶어서 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재부팅까지 하고 확인했지만 절대 90% 밑으로 떨어지지 않았다. 심지어 재부팅되는 속도도 느려짐; 메모리의 과대한 사용량이 표시되는 원인은 굉장히 다양한데 일단 내가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한 방법은 2가지다. 해결 방법 1. Windows Network Data Usage Monitoring Driver(NDU) 종료하기 메모리 세부 모니터링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이 기능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

[Java] == vs equals
조건문 파트에서 잠시 다뤘던 ==(동등 비교 연산자)와 equals() 메소드의 차이를 자세히 알아보자. 먼저 데이터 타입과 메모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원시 데이터 타입과 클래스 원시 데이터 타입(primitive) 자바에서 기본적으로 다루는 데이터 타입 boolean, byte, char, short, int, long, float, double 총 8개가 있다. 원시 데이터 타입의 변수는 선언되면 메모리(Stack)에 공간이 할당되고, 실제 값이 들어간다. 👉 원시 데이터의 경우, ==연산자는 변수가 가리키는 값을 토대로 비교한다. String같은 기본이 아닌 데이터 타입(non primitive) java.lang.Object 클래스를 비롯해 여기에서 파생된 다른 모든 클래스들을 포함한다. 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