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ONEUL
오늘의 개발
오늘 ONEUL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오늘의 개발 (248)
    • 📝 TIL (121)
    • 💡 Projects (6)
      • 드로잉 게임 [눈치 코치 캐치!] (4)
      • 익명고민상담소 [대나무숲] (2)
    • 🌎 Web (47)
      • Spring (3)
      • Java (14)
      • JavaScript (16)
      • CSS (10)
      • HTML (4)
    • 📚 Database (7)
    • 👾 Trouble Shooting (3)
    • 📊 Algorithm&SQL (39)
    • 😺 Git (1)
    • 📖 Books (7)
      •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7)
    • 📁 ETC (2)
    • 되돌아보기 (15)

블로그 메뉴

  • 😺 Github
  • 🍀 NAVER Blog

인기 글

최근 댓글

최근 글

태그

  • Til
  • JavaScript
  • 알고리즘
  • 자바
  • Algorithm
  • Java
  • 자바스크립트
  • MySQL
  • 프로그래머스
  • 항해99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오늘 ONEUL

오늘의 개발

📝 TIL

[TIL] JS 데이터 타입, 형변환, 호이스팅, 엄격모드, this

2022. 4. 18. 21:33

✍ Today I Learned

  • undefined - 값이 할당되지 않아 '타입'이 정해지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정의되지 않은 변수, 값이 할당되지 않은 변수)
  • null - object 타입이며, '값'이 정해지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typeof undefined           // undefined
typeof null                // object

null === undefined         // false
null == undefined          // true
  • typeof로는 배열(또는 Date)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없다. (이럴 땐 isArray() 사용)
  • 빈 객체로 초기화하고 싶을 때? string은 "", number는 0, array는 [], object는 {}, 나머지는 null 설정
  • Number()는 빈 문자열은 0으로 반환, 그 외 다른 것은 NaN으로 반환
Number("3.14")    // returns 3.14
Number(" ")       // returns 0
Number("")        // returns 0
Number("99 88")   // returns NaN
  • +, - 연산자는 앞쪽에 대상이 없을 경우 연산자가 아닌 양수, 음수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데이터 타입은 number이다.
  • Date() 객체를 Number()로 바꾸면 밀리초를 반환한다. (=getTime())
  • null이 자동으로 형변환 되는 경우
5 + null    // returns 5         null을 number 0으로 자동형변환
"5" + null  // returns "5null"   null을 string "null"로 자동형변환
  • string "0"을 boolean으로 형변환 하면 true이다.
  • 비트 연산자는 연산 우선순위가 높다.
  • 호이스팅이란? 선언을 맨 위로 이동시키는 JavaScript의 기본 동작
  • 변수 초기화는 호이스팅 되지 않는다!
  • ES5에서 추가된 새로운 기능들에 대한 변경사항은 기본 모드에서는 활성화되지 않고, "use strict"라는 지시자를 통해 strict mode(엄격 모드)를 활성화했을 때만 작동한다. (예를 들면, 선언되지 않은 변수는 사용할 수 없다.)
  • this 키워드는 자신을 감싸고 있는 자바스크립트 객체를 가리킨다.
  • [travel 링크 이동 없이 이미지 바꾸기] 만들면서 느낀 점
    • this 키워드를 이용하여 클릭 이벤트가 발생한 element의 innerText 가져와서 switch문으로 url 주소 바꿔줌
    • 그러나 백틱 구문을 이용하면 코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
  • 화살표 함수와 일반 함수가 다른 점은? 화살표 함수에서 this는 이벤트가 발생한 element가 아니라 window 객체를 가리킨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JS 클래스, JSON  (0) 2022.04.20
[TIL] JS 퀴즈 파티  (0) 2022.04.19
[TIL] JS Set, 로또 번호 추첨기, Map  (0) 2022.04.15
[TIL] JS 배열 순환 메서드, break, continue, Date  (0) 2022.04.14
[TIL] JS forEach(), map(), filter()  (0) 2022.04.13
    오늘 ONEUL
    오늘 ONEUL
    Backend Engineer ㅣ 어제보다 나은 오늘, 재밌는 건 오늘부터!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