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Heading) - <h>
<h1>Heading 1</h1>
<h2>Heading 2</h2>
<h3>Heading 3</h3>
<h4>Heading 4</h4>
<h5>Heading 5</h5>
<h6>Heading 6</h6>
- 제목을 나타내는 태그이다.
- <h1>~<h6> 숫자는 크기와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 block 속성을 가지므로 단독적인 강조 표현이 가능하다.
- 컨텐츠들의 영역을 구분하는 기준점으로 사용할 수 있다.
- 검색엔진에 의해 수집되기 때문에 제목은 꼭 <h> 태그를 사용해 주는 것이 좋다.
서식(Text Formatting)
<b>- 굵은 텍스트
<strong>- 중요한 텍스트
<i>- 기울임꼴 텍스트
<em>- 강조된 텍스트
<mark>- 표시된 텍스트
<small>- 더 작은 텍스트
<del>- 삭제된 텍스트
<ins>- 삽입된 텍스트
<sub>- 아래 첨자 텍스트
<sup>- 위 첨자 텍스트
- Inline 속성을 갖는 문자 포맷 관련 태그들은 고유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기도 하지만 태그의 위치를 이용하여 스타일링을 추가적으로 하기 위해서도 많이 사용된다.
- 시멘틱 마크업의 관점에서 단순 굵기를 표현하는 <b> 태그보다 중요하다는 의미도 포함하는 <strong> 태그 사용을 지향한다.
단락(Paragraphs) - <p>
<p>This is a paragraph.</p>
<p>This is another paragraph.</p>
- 단락은 나누어주는 태그이다.
- blcok 속성을 가진다.
주석(Comments)
<!-- 주석내용 -->
- 코드에 대한 설명이나 디버깅을 위해 작성한 구문을 의미한다.
- 브라우저가 읽기만 하고 실행은 하지 않는다.
- 문서 소스를 보는 툴을 이용하면 노출되기 때문에 민감한 정보를 적는 건 지양한다.
- 단축키는 Ctrl + /
링크(Links) - <a>
<a href="url">link text</a>
- 링크를 통해 사용자는 페이지에서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문서 내부로도 가능)
- href 속성은 연결할 페이지나 사이트의 URL 주소를 명시한다.
- 링크가 반드시 텍스트일 필요는 없다.
- 2가지만 기억하자 - 어디에 링크를 걸 것인가, 그 페이지나 사이트의 URL 주소
- 기본적으로 링크가 걸린 텍스트는 밑줄, 파란색 색상으로 변경된다.
이미지(Image) - <img>
<img src="url" alt="대체문자열">
- img 태그는 종료 태그가 없는 빈 태그(empty tag)이며, inline 속성을 갖는다
- src 속성에 url 주소를 작성하고, alt 속성에는 이미지가 로딩될 수 없는 상황에 대체될 문자열을 작성한다.
- width, height 속성으로 이미지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 주로 사용되는 이미지 형식은 jpeg, png가 대표적이다.
리스트(List)
<!--순서가 표기되지 않는 리스트-->
<ul>
<li>Coffee</li>
<li>Tea</li>
<li>Milk</li>
</ul>
<!--순서가 표기되는 리스트-->
<ol>
<li>Coffee</li>
<li>Tea</li>
<li>Milk</li>
</ol>
<!--설명, 정의 목적의 리스트-->
<dl>
<dt>Coffee</dt>
<dd>- black hot drink</dd>
<dt>Milk</dt>
<dd>- white cold drink</dd>
</dl>
- list 태그는 block 속성을 갖는다.
- 리스트 앞의 마커(marker)는 다른 모양으로 변경할 수 있다.
- ul 태그는 nav-bar를 작성할 때 많이 사용된다.
테이블(Table) - <table>
<table>
<tr>
<th>Person 1</th>
<th>Person 2</th>
<th>Person 3</th>
</tr>
<tr>
<td>Harry</td>
<td>hermione</td>
<td>ron</td>
</tr>
<tr>
<td>14</td>
<td>16</td>
<td>10</td>
</tr>
</table>
- tr(table row) 태그는 테이블에서 열을 구분해준다.
- td(table data) 태그는 테이블의 열을 각각의 셀(cell)로 나누어 준다.
- 셀을 헤더로 사용하려면 th(table head) 태그를 사용한다. strong, 중앙정렬이 기본 적용되어있다.
- colspan 속성은 테이블의 열 합치기, rowspan 속성은 테이블의 행 합치기
- table 태그는 레이아웃 용도로 사용하지 않는다.
※ 참고자료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Learn/HTML/Introduction_to_HTML/Getting_started
http://www.tcpschool.com/html/intro
https://www.w3schools.com/html/default.asp
'🌎 Web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form, input 태그의 모든 것 (0) | 2022.03.17 |
---|---|
[HTML] HTML에서 공간을 나누는 요소들 (0) | 2022.03.16 |
[HTML] HTML이란? (0) | 2022.03.15 |